1. 개별원가계산 : 개별, 작업별로 구분하여 소량으로 주문생산하는 기업의 원가계산에 적합
- 제조지시서 : 개별 작업별로 원가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직접비(직접재료비+직접노무비)와 제조간접비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.
- 작업원가표 : 제품의 원가를 개별 작업별로 구분하여 집계하는 경우 사용하는 표 / 제조원가를 직접재료비, 직접노무비, 제조간접비로 구분하여 기록함
2. 개별원가계산의 절차, 배부
- 절차 : 제조간접비를 각 제품별로 어떠한 배부기준에 따라 배부하는지가 포인트.
-- 추적가능한 직접비(=직접원가)는 발생과 동시에 각 제품에 부과하고
-- 추적불가능한 간접비는 일정한 방법으로 간접 배부함
- 제조간접비의 배부 : 추적불가능하기 때문에 기말에 적당한 배부기준에 따라 제조원가표에 배부하는 과정
- 제조간접비의 배부율 = 제조간접비 ÷ 배부기준(조업도)
3. 실제개별원가계산와 정상개별원가계산
- 실제개별원가계산 : 직접재료비, 직접노무비, 제조간접비등 실제발생액을 기준으로 제품에 배부하는 방법
- 정상개별원가계산 : 직접재료비, 직접노무비는 실제발생액을 기준으로 제품배부하고 제조간접비는 미리 결정된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을 이용하여 예정배부액을 제품에 배부하는 방법
- 차이점
구분 | 실제개별원가계산 | 정상개별원가계산 |
정보이용자 | 외부 | 내부 |
원가계산의 시점 | 기말 | 제품 생산완료시점(적시성) |
직접재료원가, 직접노무원가 | 실제발생액 배부 | 실제발생액 배부 |
제조간접원가 배부방법 | 실제배부기준량 x 실제배부율 | 실제배부기준량 x 예정배부율 |
-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율 = 제조간접비 예산 ÷ 예정조업도(배부기준)
- 배부차이 조정방법
**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= 실제발생액 - 예정배부액
*** 실제발생액 < 예정배부액 -> 과대배부 / 실제발생액 > 예정배부액 -> 과소배부
-- 비례배분법
--- 총원가비례배분법 : 배부차이를 기말재공품, 기말제품, 매출원가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서 안분하는 방법
--- 원가요소별 비례배분법 : 배부차이를 기말재공품, 기말제품, 매출원가에 포함된 제조간접비의 금액비율에 따라서 안분하는 방법
-- 매출원가조정법 : 배부차이 전액을 매출원가에서 가감하는 방법
-- 영업외손익법 : 배부차이 전액을 영업외손익으로 가감하는 방법
'원가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가회계_원가계산_4.결합원가계산 (0) | 2022.05.19 |
---|---|
원가회계_원가계산_3.종합원가계산 (0) | 2022.05.18 |
원가회계_원가계산_1.원가계산절차 (0) | 2022.05.15 |
원가회계_기본개념_2.원가의흐름 (0) | 2022.05.14 |
원가회계의 기본개념_1.개념과 분류 (0) | 2022.05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