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표준원가계산
: 사전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산정한 원가로 달성되어야 할 목표원가
2. 표준원가계산의 유용성과 한계점
- 유용성 : 신속한 원가정보제공, 예외에 의한 관리가능, 제품의 수량만 파악되면 원가흐름의 가정없이도 제품원가계산이 쉬움
- 한계점 : 상당한 시간과 비용소요, 내부 의사결정을 위한 제도, 표준원가를 실제의 상황에 맞게 조정, 수시로 수정해야하는 원가, 재무적 측정치만을 강조
3. 표준원가계산의 절차
절차1 : 표준원가 (= 표준가격 X 표준수량 )설정
절차2 : 설정된 표준원가와 실제 발생원가를 비교하여 차이분석
절차3 : 차이분석의 결과를 성과평가에 반영하고 실제원가와의 차이조정
4. 원가차이분석 (표준원가 > 실제원가 -> 유리한 차이 / 표준원가 < 실제원가 -> 불리한차이 )
- 직접재료비 차이분석 : 직접 재료비의 실제발생액과 표준액의 차이/ 가격차이와 수량차이가 있음
- 구입시점에서 분리하는 경우 ( 일반적인 가격차이 분석)
-- 직접재료비 가격차이
= 실제직접재료구입원가(실제구입수량X실제단가) X 실제 구입수량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구입수량X표준단가)
-- 직접재료비 수량(능률)차이
= 실제사용수량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사용수량X표준단가) X 표준직접재료비(표준사용량X표준단가)
* 표준사용량 = 실제생산량 X 생산량 단위당 표준사용량
- 사용시점에서 분리하는 경우
-- 직접재료비의 가격차이
= 실제 직접재료 사용원가(실제사용수량X실제단가) X 실제사용수량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사용수량X표준단가)
-- 직접재료비의 수량(능률)차이
= 실제사용수량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사용수량X표준단가) X 표준 직접재료비(표준사용량X표준단가)
- 직접노무비의 차이분석
* 임률차이는 직접노동시간을 실제시간으로 고정시킨후의 실제임률과 표준임률의 차이
* 능률차이는 임률을 표준임률로 고정시킨 후 실제시간과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표준시간과의 차이
-- 직접노무비 임률차이
= 실제직접노무비 (실제직접노동시간X실제임률) X 실제노동시간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직접노동시간X표준임률)
-- 직접노무비 능률차이
= 실제노동시간에 대한 표준원가(실제직접노동시간X표준임률) X 표준 직접노무비 (표준직접노동시간X표준임률)
*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표준 직접노동시간 = 실제생산량 X 생산량 단위당 표준 직접노동시간
- 변동제조간접비 차이분석
-- 소비차이
= 실제 변동제조간접비(실제조업도X실제배부율) X 실제조업도에 대한 표준변동제조간접비(실제조업도X표준조업도)
-- 능률차이
= 실제조업도에 대한 표준변동제조간접비(실제조업도X표준조업도) X 표준변동제조간접비(표준조업도X표준배부율)
- 고정제조간접비 차이분석
-- 예산차이
= 고정제조간접비 실제발생액 과 고정제조간접비 예산(기준조업도X예정배부율)
-- 조업도차이
= 고정제조간접비 예산(기준조업도X예정배부율)과 고정제조간접비 배부액(표준조업도X예정배부율)
'원가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원가회계_원가계산_4.결합원가계산 (0) | 2022.05.19 |
---|---|
원가회계_원가계산_3.종합원가계산 (0) | 2022.05.18 |
원가회계_원가계산_2.개별원가계산 (0) | 2022.05.17 |
원가회계_원가계산_1.원가계산절차 (0) | 2022.05.15 |
원가회계_기본개념_2.원가의흐름 (0) | 2022.05.14 |